
메타버스를 정의하는 말은 다양하다. 위키백과를 참조하면 아래와 같다
“메타버스(metaverse) 또는 확장 가상 세계는 가상, 초월 의미인 ‘메타'(meta)와 세계, 우주 의미인 ‘유니버스'(universe)를 합성한 신조어다”
메타버스는 4가지 범주로 분류하고 있다.
-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 일상기록(Lifelogging)
- .거울세계(Mirror Worlds)
- 가상세계(Virtual Worlds)
김상균 교수눈 1장은 메터버스에 대한 설명을 시작으로 2,3,4,5장은 4가지 메터버스에 대해 사례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며 6장에서는 각 영역의 국내회사들에서 실현 가능한 메타버스를 제안하고 있다. 마지막 7장은 메터버스가 갖는 기대와 우려를 기술하고 있다.
증강현실 세계를 소개하는 여러 예제중에 경험해본 것은 스노우 밖에 없다. 이 앱은 스마트폰 카메라를 켜고 렌즈를 사람 얼굴에 들이 대면 얼굴에 다양한 효과를 줄 수 있는 앱이지만 50대의 아제에게는 별 감흥이 없으나 10대인 딸들은 신기해하고 재밌어 했던 기억이 있다.
라이프로깅 세계에서 사용해본 앱은 2010년부터 사용하다가 더 이상 이용하지 않는 페이스북이다. 초기에 친구들과 일상을 나누기 위해 디지털 공간에 나의 삶을 복제하여 즐기는 것은 좋았으나 시간이 지날 수록 개인의 일상보다는 많은 친구를 연결하여 영업의 일환으로 사용하려는 경향과 누군가의 본인 과시가 많아 불편해지기 시작해서 폐쇠보다는 더 이상 게시물을 올리지 않는 것으로 정리했다.
거울세계는 에어비엔비, 배달의 민족등 몇 가지 경험한 곳이 있으
가상세계는 대 다수 게임위주이나 스타크래프트 외에는 온라인 게임을 해 본 경험이 없어서 다양한 가상세계 게임이 있다는 것을 아는 계기가 되었다.
가상세계에 소개된 SF영화 Reday Player one 2017 이라는 영화는 메터버스를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다. 2018년에 스티븐스필버그의 작품으로 가상세계와 현실세계를 오가며 비참한 현실세계를 잊기위해 가상세계에 집착하며 그 가상세계속에서 우정을 쌓고 그 세계를 유지하기 위해 주인공과 주변 사람들의 활약을 그린 영화다. 각본 자체가 재밌기도 하고 가상세계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요한데 어니스트 클라인의 소설(Ready Player One)을 각색했다. 참고로 2020년에 소설 Ready Player Two 를 발표했다. 영화로 각색하여 제작하는 것을 기대해본다
책 내용중에 크게 공감하는 내용을 구글 렌즈를 이용해서 아래에 인용했다. 어린 아이들이 현실 세계를 다양하게 경험(특히 교우관계)하기 전에 가상세계,사이버세계 (전에는 이런 용어를 사용했다)를 많이 접하게 되는 경우 현실 세계에 적응이 어렵지 않을까 하는 걱정을 하고 있다. 나 같은 중년은 가상세계를 나를 드러내는 것이 나의 모든 것을 공개하는 것처럴 어렵다. 지금도 20년 가까이 드나드는 사이트에 눈팅(?)족으로 살고 있다
” 매우 드물지만, 야생에 방치되거나 사람과 단절된 상태로 갇혀 지낸 아이가 구조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렇게 구조된 아이들을 보면 그 아 이가 정글북의 모글리처럼 야생에서 동물들과 잘 소통할지는 모르겠으 나. 문명사회에서 사람의 언어를 배우는 데는 큰 어려움을 겪습니다. 인간의 뇌는 생후 3년 동안 1킬로그램이 증가하며 빠른 속도로 성장합니 다. 이 시기에 야생에서 지낸 아이의 뇌는 언어 기능, 사람 간 소통기능 을 제대로 만들지 못한 채 성장을 마쳐가기 때문입니다. 간혹 매우 어린 아이에게 스마트폰, 컴퓨터를 쥐여주고 유튜브나 온라인 게임을 하도록 허용해주는 부모가 있습니다. 우리 아이가 현실 세계의 사람 간 소통을 제대로 익히지 못한 채 메타버스로 먼저 가서는 안 됩니다. 자칫 야생에 서 구조된 아이처럼 메타버스에서만 살아가는 아이, 오히려 현실
세계에서 사람들과 소통하지 못하며 깊은 고독과 좌절을 느끼는 아이가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앞으로 더 다양한 메타버스가 출현하고, 메타버스 속 사회적 경제적 상호작용이 꾸준히 증가하리라 예상하지만, 우리 아 이들이 현실 세계에 먼저 발을 디딜 수 있어야 함에는 반론의 여지가 없 습니다.
앞서 우리 아이들을 뇌와 호르몬의 특성상 젊은 야만인이라 했습니 다. 부모님과 선생님은 그런 아이들을 어떻게 대해야 할까요? 현실 세계속 소통을 익히지 못한 채 가상 세계에만 관심을 보이는 아이가 있다 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나와 아이의 관계가 어떤지 생각해보면 좋겠습 니다. 인간의 관계를 둘로 나눠보면, 교환 exchange 관계와 공유commanal 관 계가 있습니다. 교환 관계는 단순히 얼굴을 알고 지내는 사람, 사업을 같 이하는 사람, 좋은 성적을 내기 위해 팀 과제를 같이 하는 사람, 무언가 를 이뤄내기 위해 역할을 나눠서 맡은 사람들 사이에 존재하는 거래 관계입니다. 공유 관계는 애정과 우정으로 연결된 관계를 뜻합니다. 성취 에 대한 욕구나 이득을 따지는 관계가 아니라 상대의 행복과 안녕에 관심이 있는 사람 간의 관계입니다. 나와 아이들의 관계가 교환관계 공유관계 중 무엇인지 살펴봐야 합니다. 부모와 자식 사이 또는 교사와 학 생 사이이니 당연히 공유 관계라고 생각하시나요? 그 관계에 사랑, 애착, 깊은 유대감이 있다면 둘 사이의 사회적 역할이 무엇이건, 공유 관계라 할 수 있습니다. 사랑, 애착, 유대감을 만드는 게 답입니다. 인간이 서로에게 느끼는 이런 감정을 좌우하는 중요한 호르몬 중 하나가 옥시토신
에서 사람들과 소통하지 못하며 깊은 고독과 좌절을 느끼는 아이가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앞으로 더 다양한 메타버스가 출현하고, 메타버스 속 사회적 경제적 상호작용이 꾸준히 증가하리라 예상하지만, 우리 아 이들이 현실 세계에 먼저 발을 디딜 수 있어야 함에는 반론의 여지가 없 습니다.
앞서 우리 아이들을 뇌와 호르몬의 특성상 젊은 야만인이라 했습니 다. 부모님과 선생님은 그런 아이들을 어떻게 대해야 할까요? 현실 세 계속 소통을 익히지 못한 채 가상 세계에만 관심을 보이는 아이가 있다 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나와 아이의 관계가 어떤지 생각해보면 좋겠습 니다. 인간의 관계를 둘로 나눠보면, 교환 exchange 관계와 공유commanal 관 계가 있습니다. 교환 관계는 단순히 얼굴을 알고 지내는 사람, 사업을 같 이하는 사람, 좋은 성적을 내기 위해 팀 과제를 같이 하는 사람, 무언가 를 이뤄내기 위해 역할을 나눠서 맡은 사람들 사이에 존재하는 거래 관 계입니다. 공유 관계는 애정과 우정으로 연결된 관계를 뜻합니다. 성취 에 대한 욕구나 이득을 따지는 관계가 아니라 상대의 행복과 안녕에 관 심이 있는 사람 간의 관계입니다. 나와 아이들의 관계가 교환 관계 공 유관계 중 무엇인지 살펴봐야 합니다. 부모와 자식 사이 또는 교사와 학 생 사이이니 당연히 공유 관계라고 생각하시나요? 그 관계에 사랑, 애착, 깊은 유대감이 있다면 둘 사이의 사회적 역할이 무엇이건, 공유 관계라 할 수 있습니다. 사랑, 애착, 유대감을 만드는 게 답입니다. 인간이 서로 에게 느끼는 이런 감정을 좌우하는 중요한 호르몬 중 하나가 옥시토신
입니다. 옥시토신은 우리를 더 가깝다고 느끼게 해주며, 서로의 행동과 생각을 너그럽게 받아들이게 하고, 상대방을 배려하며 문제를 해결하게 도와줍니다. 그럼, 어떻게 하면 옥시토신을 많이 만들 수 있을까요? 상 대에 대한 따뜻한 마음을 물리적, 정서적으로 자주 표현하면 됩니다. 가 족이라면 하루에 두세 번 서로 안아주고, 네가 있어 행복하다고 얘기해 주면 됩니다. 잘못한 일이 있으면 마음을 담아 사과하고 고마운 것이 있으면 말과 행동으로 표현해줘야 합니다. 마음을 담아 표현해도 상대에 게 온전히 전달되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표현하지 않으면서 상대가 알 아주리라 기대하면 안 됩니다. 나쁜 남자’는 그냥 나쁜 남자일 뿐입니다. 감정을 표현하는 데 익숙해지시기 바랍니다. 아이와 어떻게 약속을 정 하고 약속을 안 지키면 어떤 벌칙을 줄 것인가를 고민하기 이전에 깊은 유대감을 느끼는 공유 관계의 형성에 더 집중하시면 좋겠습니다. 강한 유대감이 있다면, 젊은 야만인을 그리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