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에 Ubuntu Desktop을 Ubuntu Server로 변경했읍니다.
변경은 구글링을 통해 아래 사이트를 참조했읍니다. https://askubuntu.com/questions/511463/can-i-convert-ubuntu-desktop-14-04-to-server
그 이후에 LAMP의 Linux 이외에 3가지를 설치했읍니다.
Apache, MYsql, PhP5
홈페이지 이전을 위해 wordpress설치,
Mysql을 위해 PhPMyAdmin 설치,
갤러리를 위해 piwigo를
Xpenology를 위해 VirtualBox를 설치했읍니다. 그 외에 추가 설치한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samba
transmission
webdev
vsftp
dnla
mpd
bit transmission Sync
cacti –> system mornitoring
phpvirtualbox –> console이 뜨지 않아 미사용
VirtaulBox에 Xpenology를 Server이다 보니 GUI가 아닌 command를 이용해서 설치하는 냐고 조금 애를 먹었읍니다.
굳이 Native로 설치하지 않고 VirtaulBox 이유는 기존에 포고플러그에서 사용하던 ext3 하드 2개를 데이터를 살리면서 그대로 사용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일단 Ubuntu에 2개의 하드를 마운트해서 사용하고 Xpenology에서는 cifs 또는 ftp로 접근해서 사용할려고 했읍니다.
하지만 cifs 또는 ftp로 연결하는 경우에는 사진이나 동영상이 인덱싱이 되지를 않습니다.
마지막으로 찾은 방법은 물리디스크의 파티션을 가상디스크로 잡아주고 Xpenology에서는 해당 디스크를 마운트해주면 인덱싱이 가능합니다.
< 참고 >
VBoxManage internalcommands createrawvmdk -filename /path/to/file.vmdk -rawdisk /dev/sda -partitions 1,5
VBoxManage storageattach <uuid|vmname>
–storagectl
[–port ]
[–device ]
[–type dvddrive|hdd|fdd]
[–medium none|emptydrive|
||host:|iscsi]
[–mtype normal|writethrough|immutable|shareable]
[–comment ]
[–setuuid ]
[–setparentuuid ]
[–passthrough on|off]
[–tempeject on|off]
[–nonrotational on|off]
[–discard on|off]
[–bandwidthgroup name|none]
[–forceunmount]
[–server |]
[–target ]
[–tport ]
[–lun ]
[–encodedlun ]
[–username ]
[–password ]
[–initiator ]
[–int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