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9.20 HomeServer 변천사

Pogoplug로 시작한 NAS는 OMV6가 최종일 줄 알았지만, OMV6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진 자동 백업 기능이 가끔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그래서 다른 대안을 고민하다가 타오나스에 안정적인 리눅스 버전인 우분투를 설치하기로 했습니다.

Filesystem created: Sun Jun 12 22:37:30 2022

Distributor ID: Ubuntu
Description: Ubuntu 22.04.4 LTS
Release: 22.04
Codename: jammy

우분투를 설치한 날짜를 확인해보니 2022년 6월이었고, OMV는 3개월 사용 후 포기한 듯합니다.

사진 백업은 스마트폰을 USB 케이블로 노트북에 연결하여 복사한 후, 노트북의 사진을 우분투로 복사하고, 마지막으로 우분투의 사진을 월별로 rclone을 이용하여 구글 드라이브에 백업합니다.

스마트폰 → (USB)→ 노트북 → (ftp) → 우분투 서버 → (rclone) → Google Drive

초고속 인터넷 약정을 갱신하면서 설치 기사님에게 공인 IP 두 개를 받을 수 있는지 문의하니, 허브를 두면 가능하다고 해서 허브 뒤에 기존의 ipTIME 공유기와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LG 공유기를 두었습니다.

하나는 타오나스를 그대로 유지하고, 새로운 공유기 아래로 올해(2024년) 3월에 구입한 N100 기반의 Proxmox 서버를 추가했습니다.

Proxmox에는 npm, WordPress, Jellyfin, Xpenology, Windows를 설치하고, Windows는 RDP로 연결하거나 Guacamole을 이용하여 웹 환경에서 접근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이 구성이 언제 바뀔지는 모르겠습니다.

Xpenology 설치 후 사진 백업 방법도 바뀌었습니다.

Synology Photos App → Xpenology → (원도우공유) → 노트북 → (ftp) → 우분투 서버 → (rclone) → Google Drive

아래는 2024년 9월 기준 시스템 구성 현황입니다.


|현재 두 개의 서버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서비스를 flame을 이용하여 대쉬보드화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2022.3.5 NAS의 여정과 OMV6 설치

나의 NAS 활동의 역사를 뒤돌아 봅니다.

1. Pogoplug
모사이트에서 알게되어 구매하고 uboot, debian을 설치하고 스마트폰 사진업로드 이외에 여러 기능(ftp,webserver,dnla,mpd등)을 잘 활용했으나 결국 국산 상용 제품을 구입하게 됩니다.

2. WISEGIGA
2011년경에 구입한 것으로 기억됩니다. 찾아보니 현재도 제품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하드가 깨셔서 데이터 복구를 위해 AS센터에 갔던 안 좋은기억이있네요. 다행히 AS센터의 도움대신 자력으로 복구를 했습니다.

3. HP microserver G7 N54L
ubuntu 18.04를 설치하고 virturalbox에 헤놀로지를 사용하여 운영했습니다. 이 때 처음으로 cafe24에 운영하던 홈페이지를 홈서버로 이전하여 설치하여 운영했습니다. 어떤 이유인지 정확히 기억이 나지 않지만 서버 사이즈가 커서 집에 유휴로 남던 한성노트북과 외장하드로 전체를 이전하고 HP서버는 중고로 처분했습니다.

4. 노트북 + 외장하드케이스
노트북에 ubuntu 18.04 + virtualbox + Xepenology + USB외장하드로 운영했으나 virturalbox에서 Disk를 가상화가 아닌 physical로 연결하다 보니 가끔 디스크를 인식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5. 타오나스 B형 싱글랜 – 헤놀로지
디스크인식 문제를 핑게로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Hot한 타오나스를 구입합니다. Xepenology를 설치하고 데이터를 이전하여 별 문제운영했습니다. 다만 사진 자동업로드를 위해 Moments를 설치하기 전까지…
타오나스가 가끔 과열로 자동으로 종료되는문제가 발생하기 시작하는데 아마 사진에 대한 인덱싱으로 과도한 CPU사용으로 SSD에 과열이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6. 타오나스 B형 싱글랜 – Open Media Valult
NAS OS를 바꾸기로 마음을 먹고 선택지를 찾다보니 헤놀로지 7.0.1, ubuntu, omv6로 압축되었고 인터넷의 사용기를 찾아보니 상용은 아니지만 완성도가 높은 omv가 가장 적당할 것으로 판단되었습니다.
디스크를 SHR을 사용하지 않고 ext3 포맷을 사용했기 때문에 데이터 이전 별 문제없이 가능했습니다.
SHR를 사용하지 않고 디스크 장애를 대비해서 주기적으로 구글 드라이브에 rclone을 이용하여 백업했습니다.

  • 초기설치 화면

OS가 설치된 SSD에 ‘Device was used outside of design parameters in the past’ 라고 툴팁 메시지가 나오는데 원인을 모르겠습니다.
설치 중에 애 먹인 부분이 SAMBA, FTP설정입니다.

  • SAMBA 설정

집 내부 PC 원도우에서는 잘 접속이 되지만 ES 파일탐색기에서는 안되어서 찾다보니 앱애서 지원하는 samba 버전이 낮은 것으로 추정되어 서버쪽 지원되는 최저 버전을 NT1으로 지정하여 해결하였습니다

  • FTP 설정

    ftp 서버 설정시 마다 애먹는 부분입니다. 연결은 되고 서비스가 되지않습니다 로그를 보고 원인 찾고중 허탈했던 command port와 data port 문제… passive인 경우에 data port를 공유기에서 포트포워딩으로 해결하였습니다.

기존에 사용하던 서비스 이외에 추가로 Heimdall을 설치하여 사용성을 높였습니다.
이제 남은거는 가족과 제가 잘 사용하는 거겠지요 ~~

2022.1.30 전자앨범 MagicMirror² 설치

집에 각자 노트북과 태블릿을 사용하다보니 모니터를 사용하지 않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놀고 있는 LCD모니터 활용처를 찾다가 디지털 액자를 만들기로 했습니다.

일단 35,000원에 당근에서 라즈베리파이 3B를 구매하고 집에 있는 USB Type-B Mini 아답터와 SDHC 32GB를 준비하고

  1. 라즈베리파이 데스크탑OS설치하기 (https://www.raspberrypi.com/software/raspberry-pi-desktop)
  2. 블루투스 설정(키보드,마우스)
  3. WIFI 설정 – 가장 애먹은 부분입니다. 지역설정을 수정해야 합니다
    참고: https://phodobit.kr/70
  4. MagicMirro 설치 https://docs.magicmirror.builders/getting-started/installation.html
  5. MMM-GooglePhotos 설치 https://github.com/aneaville/MMM-GooglePhotos

    마지막으로 라즈베리파이를 계속 켜 두기 보다는 샤오미 sonoff를 이용하여 9시부터 21시까지만 켜두도록 세팅했습니다.
    MagicMirro는 modules 기본기능(10개) 이외 추가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개발자들이 module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https://github.com/topics/magic-mirror-modules

    스마트폰이나 디지털카메라로 찍은 사진은 거의 인화를 하지 않아서 과거의 앨범처럼 볼 기회가 많지 않지만 전자앨범으로 과거의 추억을 회상할 수 있으니 모든 가족이 좋아합니다.

    사용하다보니 LCD 모니터 대신 모니터 팬널과 나무액자를 이용하여 진짝 디지털 액자를 만드는 것을 시도할 예정입니다.

2016.9.11 Technical debt

20160315_111152_rs
20160315_111059_rs사진을 정리하다가 잊지 않기 위해 캡쳐한 책의 일부 내용입니다.
내용이 워낙 용어가 생소하지만  동감가는 부분이 많아  기억하기 위해 갈무리해 두었읍니다.

Technical debt      – https://en.wikipedia.org/wiki/Technical_debt

“기술적인 빚”
빚은 갚지 않으면 그 만큼의 이자가 불어나서 결국  갚지 못하는 상황이 오겠지요
IT의 개발은 원하지 않지만  빚을 남기게 됩니다.(과연 오류가 없는 완벽한 시스템이 존재하는가?) 하지만 남겨진 그 빚을 최소화 하도록 얼마나 잘 조절 관리하는냐가 중요한 관건이 될듯합니다.
주요 8가지 요인 중에 현업관련이  1~4,  IT관련이 5~8 입니다. 결국 빚을 많이 남기지 않으려면 IT보다는 현업의 역할이 많이 중요합니다.
나중에 찾아보니 갈무리한 내용은  조대협님의 “소프트웨어 개발과 테스트 “ 의 일부 내용이네요  

2016.3.29 flexget, transmission-remote

토렌트파일을 통한 TV예능 프로와 같은 동영상 다운로드시 필요한 것은
주기적으로 RSS feed를 통해  특정 키워드를 포함한 타이틀의 동영상을  다운로드 받은 후에  토렌트 파일을 삭제하고 동영상파일은 1주일간 유지하다가 삭제하는 것입니다.
이것을 만족시켜준 것은 ds download입니다. 삭제는 crontab으로 변경일이 7일이 지난 것은 삭제하도록 구성했읍니다.
최근 성인용 광고를 위해 타이틀에 특수문자로 변경 또는 추가하여 광고용 동영상이 다운되고있읍니다. 이것을 방어하기 위해 직접  테이블을 만들고 php코딩을 통해 처리하는 분들도 계십니다.
토렌트를 알고 PC에서
1) flexget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토렌트 파일을 다운로드
문제가 발생하는 것은 토렌트 파일이 한글인 경우 인코딩 관련 오류가 발생
–>  transmission-rpc를 이용하여 토렌트 파일을 직접  transmission-daemon에 전달

pushbullet을 이용https://sungju.duckdns.org/wp-content/uploads/2016/04/1.png하여 다운로드 시작을 push로 알려줌

스크린샷1

2)  pushbullet을 이용하여 파일이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push로 알려줌
transmission-daemon의  setting.json 파일에 다운로드 완료 후 실행할 쉘을 정의하면 됩니다.
스크린샷4
스크린샷3
3)   transmission-remote를 이용하여 다운로드가 완료된 토렌트 파일을  주기적으로 crontab을 이용하여 삭제하고 pushbullet을 이용하여 push로 알려줍니다
참조한 쉘은 링크를 참조  –  removecompletedtorrents.sh
참조한 쉘에서 일부 코드를 추가하여 삭제된  파일의 타이틀을 pushbullet으로  보내주도록  수정하였읍니다.
<<추가된 코드 >>
echo “Removing torrent from list.”
  NAME=`transmission-remote 192.168.0.38 -n$id:$password -t “$TORRENTID” -i |  grep Name | cut -d’:’ -f 2`
 echo $NAME
 curl –header ‘Access-Token: $token’ \
 –header ‘Content-Type: application/json’ \
 –data-binary ‘{“body”:”‘”$NAME”‘”,”title”:”트랜스미션 다운로드 삭제 “,”type”:”note”}’ \
 –request POST \
  https://api.pushbullet.com/v2/pushes
transmission-remote 192.168.0.38 -n $id:$password –torrent $TORRENTID –remove
아래는 transmission-daemon을 이용하여  동영상 다운로드 시작, 완료, 삭제(토렌트파일)를 pushbullet으로 받은 화면입니다.
Screenshot_20160329-145222

2015.10.08 pebble steel 사용기


잘 사용하던 vidonn X6를 물놀이 공원에서 샤위중 분실 ㅜㅜ
스마트밴드 대신 스마트와치를 찾아보던 중  가격, 밧데리등을 봤을때 페블 스틸이 가장 맞을듯하여  중고월드에서 매복후에 중고로 영입헸읍니다. 원래는 가죽줄이었는데 알리에서 스틸줄을 구입해서 교체했읍니다.
장점
칼같이 오는 알림(알람), 확실한 진동, 긴 밧데리 시간(5~7일),  추가 페블 앱 설치
단점?
지인이 자꾸 액정을 터치해보고 심박기능을 물어본다.
 
 

[2015.5.28] 맨먼스 미신 – 프로그래밍의 즐거움

프로그래밍은 왜 재미있는가? 프로그램을 만드는 사람들은 어떤 즐거움을 대가로 기대하고 있는가?
첫 번째는 무언가를 만드는 데서 오는 순전한 기쁨이다.

두 번째는 다른 이들에게 쓸모 있는 사물을 만드는 데서 오는 기쁨일 것이다

세 번째는 서로 맞물려 돌아가는 부속품으로 이루어진 복잡한 퍼즐 같은 사물을 만들고, 거기 심어 놓은 여러 가지 법칙이 미묘한 순환속에서 펼쳐지는 것을 바라보는 매혹적인 경험이다.

네 번째는 지속적인 배움에서 오는 기쁨이다

마지막 즐거움은, 너무도 유연하고 다루기 쉬운 표현 수단으로 작업하는 데서 오는 기쁨이다.

이렇게 우리 마음 깊은 곳 창작에 대한 갈망을 충족시키고 모든 인간이 공통적으로 지닌 감수성을 즐겁게 하기에 프로그래밍은 재미있는 일이다.

NAS설치후 데이터 정리중

NAS장비 저렴한 거를 구입하여 데이터를 정리중에 있읍니다.
주로 사진,음악,동영상이 많은데 옛날 사진보니 처음 카메라를 거금 들여살 때가 생각납니다.
그땐  비싼 카메라가  사면 좋은 사진 나오는 줄 알았는데.
사진관리도 참 단순하게 했죠.. 지금처럼 태그로 관리하게 아니라… 그저 일자와 장소로 구분
주말마다 전국을  돌아다니던 그 시절이 참 즐거웠읍니다. 주말을 기다리며 주중을 보냈으니…